‘고성능=국산’ 공식 파괴…1원이라도 더 싸게 만들려는 절박함
기아의 신형 전기차 EV5가 오는 9월, 중국 CATL 배터리를 탑재하고 국내에 출시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고성능 NCM 배터리는 국산’이라는 불문율이 깨진 첫 사례로, 전기차 시장의 치열한 가격 경쟁이 K-배터리의 텃밭마저 위협하기 시작했다.
기아 EV5 측정면 (출처=기아)
왜 ‘K-배터리’가 아닌 ‘C-배터리’인가?
기아의 이번 선택은 ‘절박함’이라는 한 단어로 요약된다. 전기차 수요가 잠시 주춤하는 ‘캐즘’ 현상과 매년 줄어드는 정부 보조금 속에서, 어떻게든 차 값을 낮춰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이다.
기아 EV5 측면 (출처=기아)
국내 배터리 업계의 위기? 현대차의 큰 그림?
이번 결정은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에게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안방으로 여겨졌던 내수 시장 주력 모델까지 중국에 내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EV5를 시작으로 향후 출시될 중형, 대형 전기차에도 중국산 배터리가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아 EV5 실내 (출처=기아)
그래서, 소비자에게는 좋은 건가?
결론부터 말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배터리의 ‘국적’을 따지던 시대는 저물고, 이제는 오직 ‘성능’과 ‘가격’으로만 평가받는 무한 경쟁 시대가 열렸기 때문이다.
기아 EV5 측후면 (출처=기아)
동치승 기자 dong@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