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관광공사
사진=한국관광공사


국내 관광의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관광업계가 ‘디지털 관광 주민증’을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최근 컨슈머인사이트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여행의 가장 큰 불만 요소는 ‘살거리’와 ‘물가’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1006명의 여행객은 해외보다 국내 여행에서 △살거리(11%p), △할거리(7%p), △물가(22%p) 등의 측면에서 높은 불만을 나타냈다. 특히, 이 같은 불만은 다음 여행에 대한 우려로도 이어지고 있어 국내 관광의 매력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런 배경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도입한 ‘디지털 관광 주민증’은 의미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관광 주민증은 인구 감소 위기를 겪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광객에게 일종의 ‘명예 주민증’을 발급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다. 해당 지역의 숙박, 식음, 체험, 관람 등의 관광 시설과 프로그램에서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지역과 관광객 간의 상생 모델로 기대를 모은다.
사진=어반브러시
사진=어반브러시


2022년 강원 평창과 충북 옥천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 이 제도는 현재 44개 지자체로 확대됐으며, 1000곳이 넘는 관광 시설이 참여 중이다.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강원 철원군의 한탄강 주상절리길, 충남 보령시의 대천해수욕장 스카이바이크, 경북 청도군의 프로방스 포토랜드 등이 있다. 이미 유명한 관광지부터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 명소까지 포함되면서, 숨겨진 국내 여행지를 발굴하는 데도 도움이 되고 있다.

관광 주민증은 ‘대한민국 구석구석’ 공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통해 손쉽게 발급 가능하다. 신청자는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해 디지털 주민증을 발급받고, 현지 관광시설에 비치된 QR코드를 스캔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지역별 참여 업체와 할인 정보도 앱과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코레일과 연계해 운영되는 ‘디지털 관광 주민증 특화 열차’ 프로그램은 철도 여행을 선호하는 관광객에게 주목받고 있다. 해당 열차를 통해 주민증 참여 지역으로 여행하면 교통과 관광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편리함과 실용성을 겸비한 여행이 가능하다.
사진=한국관광공사
사진=한국관광공사


다만 최근 일부 지역은 영남권 대규모 산불 등의 재난으로 관광 가맹점 운영이 일시 중단된 사례도 있어, 방문 전 전화 문의 등으로 운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지역 경제가 침체되고 관광객의 관심이 줄어드는 요즘, 디지털 관광 주민증은 다시금 국내 여행의 매력을 부각시키는 유용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비싸기만 한 국내여행’이라는 인식을 바꾸고 지역과 관광객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제도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김은정 기자 kej@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