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정이 31일 대신 27일을 임시공휴일로 확정했다.(MBN 뉴스 캡처)
정부가 14일 국무회의에서 설날 연휴 전일인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확정했다.
당초 일부 공직자들이 제기한 31일 임시공휴일 지정 주장은 사실상 받아들여지지 않은 셈이다. 이처럼 정부가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이유는 크게 3가지로 정리된다.
우선 정부는 31일은 월 말이기에 월간 정산과 결제마감을 해야하는 업종들의 출근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들었다.

정체된 고속도로의 모습(사진=픽사베이)
두번째 이유는 귀경길보다 귀성길이 많이 막히는 명절의 특성을 고려했다. 27일 휴일로 지정되지 않을 경우 정상 출퇴근하는 근로자와 귀성객의 움직임이 겹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교통 혼잡으로 이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 이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내세운 세 번째 이유는 내수진작이다. 앞서 정부는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과정에서 ‘내수진작’에 목적을 뒀다고 정확히 명시한 바 있다.

정부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사진=픽사베이)

정부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사진=픽사베이)
다만, 휴일이 늘어난 만큼 조업일수가 줄면서 생산과 수출은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울 명동의 모습(사진=픽사베이)
김동현 기자 kdh@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