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포스터, 달수네라이브
사진=포스터, 달수네라이브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진출작 ‘미키17’이 개봉 한 달 만에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고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자리를 옮기게 됐다.

6일(미국 현지시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신작 목록에 따르면 ‘미키17’은 7일부터 미국 서부 기준 오후 9시에 공개된다. 이 외에도 애플TV와 판당고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함께 서비스된다.

이 같은 행보는 흥행 부진에 따른 조치로 분석된다. 영화 통계 사이트 박스오피스 모조(Box Office Mojo)에 따르면 ‘미키17’은 북미 개봉 한 달 동안 약 4,468만 달러(약 653억 원)의 티켓 매출을 기록했으며, 해외 수익을 포함한 글로벌 수익은 약 1억 2,238만 달러(약 1,789억 원)에 그쳤다. 한국 내에서도 299만 명의 관객을 모으는 데 그쳐 약 29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사진=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사진=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문제는 영화의 막대한 제작비와 마케팅 비용이다. ‘미키17’은 제작비로만 1억 1,800만 달러(약 1,700억 원)가 투입됐고, 여기에 워너브러더스가 8,000만 달러(약 1,169억 원) 규모의 마케팅 비용을 추가로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비용이 약 2억 달러를 훌쩍 넘는 가운데, 극장이 가져가는 수수료를 고려한 손익분기점은 약 3억 달러(약 4,385억 원)로 추정된다.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와 버라이어티는 이러한 수치를 바탕으로 ‘미키17’이 최소 7,500만 달러에서 최대 8,000만 달러(약 1,170억 원) 규모의 손실을 입었을 것이라 내다봤다. 이는 전 세계적인 기대를 모았던 작품의 실적치고는 상당히 아쉬운 결과다.

흥행 실패의 원인으로는 봉준호 감독 특유의 독특한 세계관과 철학이 글로벌 대중에게는 다소 난해하게 다가왔을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주연 배우 로버트 패틴슨의 국내 인지도가 낮았다는 점도 거론되고 있다. 또한 국내 개봉 초기 높은 상영 비중에도 불구하고 관객 반응은 미지근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시네마스코어 기준 ‘B’ 등급이라는 중간 수준의 반응을 얻는 데 그쳤다.
사진=JTBC 뉴스룸
사진=JTBC 뉴스룸


비평 면에서도 봉준호 감독의 전작들과 비교해 다소 저조한 평가를 받고 있다. 로튼토마토 기준 평론가 점수 77점, 관객 점수 73점을 기록하며 ‘기생충’이나 ‘마더’, ‘살인의 추억’과는 확연히 다른 반응을 얻었다.

업계 관계자들은 ‘미키17’이 향후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극장 수익만으로 흑자를 달성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번 사례는 봉준호 감독의 첫 할리우드 진출작으로 기대를 모았던 ‘미키17’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흥행 리스크를 여실히 보여준 사례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김은정 기자 kej@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