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윈스톰이라고?”… 대우의 전설, 쉐보레 캡티바 EV로 부활했지만 한국 땅은 못 밟는 속사정
한때 대한민국 아빠들의 ‘국민 SUV’로 불렸던 대우 윈스톰이 약 17년 만에 전설의 귀환을 알렸다. 하지만 돌아온 모습은 우리가 기억하던 그 차가 아니다. 쉐보레 캡티바 EV라는 이름표를 단 순수 전기차로, 완전히 새로운 심장과 얼굴을 가졌다. 추억 속의 그 차가 첨단 기술을 입고 돌아왔다는 소식에 많은 이들이 반가워했지만, 아쉽게도 한국 도로에서 다시 만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쉐보레 캡티바 EV 측정면 (출처=쉐보레)
낯선 얼굴, 익숙한 이름의 ‘반전 매력’
새로운 캡티바 EV의 첫인상은 ‘파격’ 그 자체다. 과거 듬직했던 윈스톰의 이미지는 온데간데없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으로 완전 무장했다. 길고 가느다란 수평형 LED 주간주행등과 그 아래로 분리된 헤드램프는 최신 전기차의 디자인 공식을 따르면서도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쉐보레 캡티바 EV 측면 (출처=쉐보레)
‘메이드 인 차이나’ 심장을 품다
캡티바 EV의 가장 큰 반전은 바로 ‘출신 성분’이다. 이 차는 GM의 독자 기술이 아닌, 중국의 우링(Wuling) 자동차 기술을 기반으로 탄생했다. 정확히는 ‘바오준 클라우드’라는 중국 내수용 전기차를 쉐보레 브랜드로 손본 모델이다. 과거 ‘미국차’의 상징이었던 쉐보레가 중국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것은 GM의 글로벌 전략이 얼마나 크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쉐보레 캡티바 EV 측정면2 (출처=쉐보레)

쉐보레 캡티바 EV 측후면 (출처=쉐보레)
한국 대신 남미로 향하는 이유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한국 출시 가능성은 안타깝게도 ‘제로’에 가깝다. GM은 캡티바 EV의 주력 시장으로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을 정조준했다. 특히 미국 시장에는 미-중 무역 분쟁의 여파로 중국산 부품이 들어간 차량의 판매가 어려워지면서 아예 출시조차 고려하지 않고 있다.
쉐보레 캡티바 EV 트렁크 (출처=쉐보레)
동치승 기자 dong@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