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저품질 차량이라는 우려로 인한 실패를 예상하는 시각과 높아진 자동차가격에서 가성비를 내세워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의견이 분분한 것이다.
이들 3개 모델은 지난해 BYD 수출량 중 82%를 차지한 인기 차종이다. 올해 1~9월 BYD의 일본 승용차 판매량은 1742대로 전년 동기 대비 96.6%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 2년간 누적 판매량은 3188대에 그쳐 부진을 면치 못했다.
BYD가 자국 브랜드 점유율이 84%에 달하는 일본시장에서 성공할 가능성에 대해 업계에서는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자국차와 하이브리드차 선호도가 높은 시장의 특성과 맞물려, 저렴한 중국산 차량이라는 인식까지 겹치면서 현지에서 고전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 전기차 운행이 ‘시기상조’라는 일본 내 인식 또한 BYD의 실패를 점친 이유 중 하나다.
이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 BYD의 성공가능성도 어느정도 점쳐볼 수 있다. 국내 또한 국산차 점유율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하이브리드에 대한 수요가 높아 일본과 비슷한 성적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다.
게다가 최근 연이은 전기차 화재로 인한 수요 둔화도 BYD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정부가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 책정에 배터리 에너지 밀도와 재활용 가치 등을 평가 항목으로 추가했는데 이 부분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한다. BYD 전기차는 해당 평가에 불리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어서다.
마치 포르쉐 등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과 더불어, 저렴한 전기차라는 포지션이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 사이에 인기를 끌 수도 있다는 것이다.